시간 복잡도, 빅오 표기법
시간 복잡도는 입력값의 크기나, 개수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실행 시간이 어떻게 변하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해준다.
대표적으로 빅오 표기법을 사용한다. O(...) 에다가 괄호 안에 n의 식을 넣는다.
상수항과 상수 계수는 버린다. 왜냐하면 지수에 따라서 값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, 상수가 큰 의미를 갖지 않는다고 본다.
Last updated
Was this helpful?
시간 복잡도는 입력값의 크기나, 개수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실행 시간이 어떻게 변하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해준다.
대표적으로 빅오 표기법을 사용한다. O(...) 에다가 괄호 안에 n의 식을 넣는다.
상수항과 상수 계수는 버린다. 왜냐하면 지수에 따라서 값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, 상수가 큰 의미를 갖지 않는다고 본다.
Last updated
Was this helpful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