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술/조화/기하평균
평균에는 세 가지가 있다.
산술평균
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평균이다.
기하평균
값들을 다 곱하고 개수 지수로제곱근을 씌운다. 곱셈적, 비율적 관계에서 쓰인다. 직관적으로는 복리를 계산할때 쓰인다.
조화평균
역수취한 다음 다 더한걸 평균낸걸 또 역수를 취한다.
예를 들어, 속도 계산할 때에 쓴다. 값에 따라서 그 값의 가중치가 정해져야 할 때. 속도 30으로 10만큼, 속도 20으로 10만큼 갔으면, "20으로 10만큼 간것" 이 평균에더영향을 많이줘야할것이다. 조화평균의 특징은 작은 값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이다.
머신러닝에서 F1점수는 정밀도와 재현율의 조화 평균이다. 둘 중에서 하나라도 낮으면 좋은 알고리즘이 아닐 것이므로, 낮은값에가중치를두는조화평균을 쓰는 것으로 생각된다.
Last updated
Was this helpful?